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츠,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애플의 스티브 잡스.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이들의 공통점은 대학생 시절 회사를 창업하여 사회적 가치를 창출했다는 점이다. 2018년 인텔에 약 17조 5,600억에 팔렸던 모빌아이와 코로나 팬데믹으로 더욱 유명해진 모더나는 대학교수들에 의해 창업된 기업이다. 대학의 R&D 성과를 바탕으로 수많은 스타트업 기업이 탄생하고 있는 실리콘 밸리와 뉴욕 코넬테크 사례는 이제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다. 이처럼 대학 창업은 미래산업을 이끄는 핵심적 주체가 되었다.

우리나라 역시 대학을 중심으로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학은 창업교육을 확대하고 있으며 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해 부지 내 TIPS(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Korea) 타운을 설치하는 등 창업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대학 내 창업생태계는 지속적인 양적 성장을 달성하고 있다. 특히 대학 및 연구기관의 영향을 크게 받는 기술기반종합창업기업의 수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반면 질적 성장은 아직 미흡하다는 평가다. 관련된 최근의 연구에서는 대학에서의 창업교육이 대학생들의 창업 의지 촉진과 기업가 정신 배양에 효과적이지 못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2021년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발표한 국내 혁신창업 생태계 현황을 보면 대학에서 운영 중인 창업교육 다수가 이론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창업 휴학과 같은 창업 친화형 학사제도의 활용률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곧 대학의 창업교육이 바뀌어야 할 때임을 보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답을 찾기 위해서는 이스라엘의 대학교육을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이스라엘은 대표적인 창업 국가 중 하나인데, 그 배경에는 '기업가 정신(Enterpreneurship)'과 '후츠파(chutzpah) 정신'이 자리 잡고 있다. 이스라엘의 텔아비브 대학은 이러한 기업가 정신이 경영학뿐 아니라 모든 분야에 필요하다고 판단, 이스라엘에서 최초로 이를 정규 교육과정에 도입하였다.

특히 눈여겨볼 점은 이들이 도입한 것이 바로 교육과 복지, 기후 문제, 빈곤, 인권 등 다양한 사회문제에 대해 혁신적 해결 방안을 탐색하는 데 초점을 둔 사회적 기업가 정신(Social Enterpreneurship)이라는 점이다. 사회적 기업가 정신을 함양한 텔아비브의 학생들은 경제적 이익과 함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한다. 우리 대학의 창업교육 역시 이익의 창출과 함께 혁신적 방법을 통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치 있는 활동임을 학생들이 직접 느끼고 깨닫도록 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한편 '후츠파'는 거침없이 질문하고 당당하게 자신의 의견을 밝히며 변화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이스라엘 특유의 도전 정신을 의미한다. 이스라엘 대학교육에서는 이러한 후츠파 정신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토론과 사유를 통해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생산한다. 그러나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현재 우리 대학에서는 사유와 도전이 아닌 지식 전달과 이론 중심의 창업교육이 이루어질 뿐이다. 혁신은 무엇이 문제인지 질문하고, 해결 방법을 생각하며, 이를 직접 실천할 때 태어난다. 대학은 이론이 아닌 사유와 실천의 교육을 제공하고 학생들에게 지속적인 도전 경험을 제공하여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분위기를 형성해야 한다.

정부에서는 올해 권역별로 6개 대학을 창업 중심 대학으로 선정, 이들을 지역 청년창업 생태계의 핵심 거점으로 육성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창업 활성화를 위한 노력의 중심에 대학이 있는 것이다. 대학의 다양한 창업 교육과 지원으로 사회적 기업가 정신을 가지고 도전과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청년 기업가들이 쉼 없이 등장하여 미래 한국을 이끌어 나아갈 그 날을 그려본다.


집필: 김정겸(충남대 교육학과 교수), 2022-09-19

 출처: 중도일보 http://www.joongdo.co.kr/web/view.php?key=20220919010004786

댓글
* 이메일이 웹사이트에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