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싱어게인 2'의 대전 공연을 관람할 때의 일이다. 공연에 참가한 가수 한 명이 무대 인사를 하면서 자신은 대전에 처음 와봤음에도 불구하고 대전이 무척 친숙하게 느껴진다고 언급하였다. 그리고 그 이유는 대전이 학창 시절 가고 싶던 대학 중 하나인 KAIST가 위치한 도시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였다. 이와 비슷한 일을 해외에서도 경험한 적이 있다. 아이들과 함께 미국에 방문하였을 때 일부러 매사추세츠주를 방문하였는데, MIT와 하버드대를 둘러보기 위해서였다. 만약 KAIST나 MIT, 하버드대가 다른 지역에 위치해 있었다면 대전을 친숙하게 느끼거나, 매사추세츠주에 방문하는 일은 없지 않았을까. 이처럼 대학의 브랜드 가치는 곧 지역의 브랜드 가치를 높여주고는 한다.

대학은 지역사회의 가치 창출과 사회 발전, 문화 형성에도 큰 역할을 한다. 공학 분야에서 개발된 신기술은 지역 산업을 비약적으로 발전시키며, 지역학 연구는 지역의 정신과 정체성을 정립한다. 사회학, 행정학, 교육학, 생태학 등 다양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지역에 산재한 문제들을 해결하거나, 지역에 필요한 우수한 인재들을 길러낼 수도 있다. 대학의 구성원들이 지역민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각종 문화예술 공연과 행사들은 지역문화를 선도하고, 지역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대학의 영향과 역할은 지역과의 체계적인 협력이 이루어질 때 특히 극대화된다. 독일 아헨시와 아헨 공대가 협력을 통해 서로의 발전을 도모한 사례는 너무도 유명하다. 우리 또한 지역과 대학이 긴밀히 협력하여 지방소멸의 위기를 극복하고, 함께 상생발전을 도모해야 한다. 이를 위한 몇 가지 아이디어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지역 내 다양한 주체들과 대학이 지역발전에 대한 비전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 지역과 대학이 생각하는 지역발전의 방향이 서로 다르다면 협력은 불가능하다. 예컨대 지역에서 발전시키기를 원하는 것은 관광업인데 대학은 반도체에 집중한다면 서로 엇나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지역과 대학 간 소통의 폭을 넓힘으로써 지역이 어떤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 것이며, 이를 위해 각 주체들과 대학이 무슨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합의와 논의가 이루어질 때 비로소 유기적인 협력과 상생이 가능하다.

아울러 지역과 대학은 운명공동체라는 인식이 자리매김되어야 한다. '지역만 살리면 된다' 또는 '대학의 발전만이 중요하다' 등의 생각은 지양해야 한다. 지역이 소멸하면 대학은 기반 인프라가 소멸하여 운영이 어려워지며, 반대로 대학이 사라지면 지역은 인구소멸과 경제 및 사회·문화적 경쟁력이 큰 폭으로 감소한다. 대학이 폐교되면서 지역 주민들이 떠나고 결국 유령도시가 되었던 사례를 잊지 말아야 한다.

대학에 대한 지역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과거 연구년을 위해 방문했던 미국 인디애나주의 블루밍턴 지역에서는 대학생들이 지방 정부의 지원을 받아 지역 내 어디서나 무료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었다.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지자체에서 대학생 대상 장학금 혜택을 늘리거나, 특정 조건 충족 시 등록금을 지원해주는 방식이다. 이러한 지원을 통해 대학이 지역발전을 위한 연구와 사회공헌에 더욱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될 것이다.

최근 정부에서 120대 국정과제를 발표하였다. 발표 직전 마지막으로 추가된 6번째 국정 목표는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다. 지방의 발전과 경쟁력을 강화하여 지역 불균형을 해소하자는 것이다. 지역의 발전을 위해 지역 대학과의 협력 체제는 필수 불가결이다. 지역과 대학, 산업체 등 모두가 협력하여 지역발전을 위한 성공모델을 구안함으로써 진정으로 모두가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지방시대'가 활짝 열리기를 소망한다.


집필: 김정겸(충남대 교육학과 교수), 2022-08-01

출처: 중도일보 http://www.joongdo.co.kr/web/view.php?key=20220801010008857

댓글
* 이메일이 웹사이트에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