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우리 삶을 윤택하게 한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반대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사회 속 수많은 폐해나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ICT의 발전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일상생활이 디지털화되면서 디지털 격차가 심화되기도 하고, 디지털 환경 속에서 발생하는 각종 사회·윤리적 문제도 드러나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의 지난해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세대 간 디지털 숙련도 격차가 OECD 내에서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연령별 디지털 정보 격차를 살펴보더라도 20대 이하 인구의 약 77%가 온라인을 통한 전자상거래서비스의 혜택을 경험한 적이 있는 반면, 60대 이상은 34%만이 해당 서비스를 경험한 적이 있는 등 디지털 격차로 인한 노년층의 경제적 소외가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소외는 결국 세대 간 갈등으로 이어진다.

디지털 발전으로 인한 피해를 겪는 것은 젊은층에서도 마찬가지다. 푸른나무재단에서 지난해 발표한 바에 따르면 학교폭력 가운데 사이버폭력의 비중이 2019년 대비 약 6배 증가했다고 한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발표한 '2022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에서도 10명 중 4명의 학생들이 사이버폭력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폭력은 우울증과 불안, 행동 장애의 원인이 되며 사회적으로 큰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극복하고 모두가 상생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환경에 맞는 '디지털 시민성'이 필요하다. 디지털 시민성이란 디지털 환경에서 살아가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로서 디지털 기술을 이해하고 윤리적으로 올바르게 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역량을 의미한다. 우리 모두가 디지털 시민성을 함양함으로써 지식정보사회에 보장된 자유와 기회를 누리는 한편, 그에 뒤따르는 책임과 의무를 다할 때 비로소 진정한 디지털 사회를 향유할 수 있다. 이에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몇 가지 아이디어를 공유하고자 한다.

첫째, 디지털 전문가가 돼야 한다. 모두가 디지털 기기에 대해 이해하고 목적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디지털 환경 속에 존재하는 수많은 정보 가운데 정확한 정보를 선택하고 분석 및 해석해 올바르게 활용할 수 있는 인지적 능력이 필요하다. 정부기관 및 대학, 기타 교육기관 등에서 지역민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스마트폰 활용 교육'이나 '보이스피싱 예방 교육',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등의 밑바탕에는 이러한 목적의식이 전제돼 있다.

둘째, 디지털 활동가가 돼야 한다. 이는 디지털 환경에서 발생하는 정치, 문화, 사회, 경제적 현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온라인 커뮤니티에 참여해 새로운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디지털 문화를 향유하며, 전자화된 경제적 서비스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또 하나의 현실이 돼 가고 있는 디지털 환경의 정주민이 될 수 있다. 디지털 환경은 특정 계층만의 전유물이라는 인식을 버려야 한다. 과거 유행했던 아이스버킷 챌린지와 현재의 유튜브 숏츠에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해 함께 즐기고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셋째, 디지털 시민이라는 의식을 가져야 한다. 우리가 안심하고 일상을 살아갈 수 있는 이유는 '시민'이라는 의식을 토대로 법과 윤리적 규범을 준수하기 때문이다. 디지털 사회도 마찬가지로 따라야 할 법과 윤리적 규범들이 존재한다. '디지털 시민'이라는 의식을 바탕으로 이를 지킬 때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사회 및 디지털 공동체의 구현이 가능하다.

시민의 개념은 역사의 흐름에 따라 많은 변화를 겪어 왔다. 고대 사회에서는 참정권을 지닌 일종의 특권 계급을 의미했고 근대에는 부를 지닌 부르주아 계층을 뜻했다. 현재 시민은 국가의 국민이자 지구촌의 구성원으로서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제 다음 차례는 디지털 시민이다. 국민 모두가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발전된 기술이 제공하는 풍요로움과 편리함을 누리는 동시에 각종 폐해를 예방 및 최소화할 수 있는 디지털 시민이 되는 그 날을 그려 본다.


집필: 김정겸(충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2023-6-28
출처: 대전일보(http://www.daej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071507)

댓글
* 이메일이 웹사이트에 공개되지 않습니다.